"포괄2차병원 대상 선정 시 응급의료센터 기능 고려해야"

[서울=뉴시스]권신혁 기자 = 정부가 2차병원과 의원급 의료기관으로 구조전환을 확대한 가운데, ‘포괄2차병원’ 지원 대상을 선정할 때 응급의료센터, 심뇌혈관질환센터 등 응급·필수 기능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정부는 13일 오후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료개혁특위) 산하 ‘전달체계·지역의료 전문위원회’ 제14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선 포괄2차병원 지원사업의 선정기준, 지원내역, 규모 등과 관련해 논의가 진행됐다.

우선 의료공급, 이용체계 정상화를 위해 구조전환이 2차병원과 의원급으로 확산돼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지역의료 생태계 복원을 위해 지역의 의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포괄성과, 중등증 이상의 진료와 응급 등 일정 수준 이상의 진료 역량을 갖춘 종합 병원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포괄2차병원 지원 대상 선정 기준과 관련해선 ▲의료기관인증평가 등 의료기관 기초 역량 ▲수술 등 환자 치료 역량 ▲응급의료센터, 심뇌혈관질환센터 등 응급·필수 기능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 종합병원들의 진료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필수·응급 기능 강화, 진료협력, 진료효율성 등을 평가하고 보상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정부는 포괄2차병원 지원사업의 지원규모와 항목 등을 전문가와 현장의 의견을 수렴해 구체화할 예정이다.

노연홍 의료개혁특위 위원장은 “상급종합병원으로부터 시작된 긍정적인 변화가 의료전달체계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실효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innovation@newsis.com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